728x90

분류 전체보기 94

[Scouter] 스카우터 대시보드 모니터링 및 추가 기능 총정리

INTRO시스템 운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안정성 확보이다. 서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자원의 리소스 상태와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중요한 사항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모니터링 도구가 활용되는데, 그중에서도 Scouter는 서버와 WAS 환경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설치 및 설정이 간편하여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Scouter는 어떤 모니터링 지표들을 제공하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추가 기능과 활용 방법까지 함께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모니터링 지표 1-1. 서버 리소스 지표- 'Collector > Linux' 또는 '대상 Object 클릭 > Performace Count..

Monitoring/Scouter 2025.08.21

[업무자동화] Python_한글 파일명 메일 첨부 오류 해결 방법

1. 문제한글 파일명으로 된 PDF를 메일에 첨부하여 발송할 경우, 수신자에게 첨부 파일명이 깨지거나 인식할 수 없는 문자로 표시되는 문제 발생. (UTF-8 인코딩 값이 그대로 노출) 2. 문제 원인2-1. 메일 프로토콜의 문자 인코딩 한계► 메일 헤더는 기본적으로 ASCII 문자만을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설계됨► 한글과 같은 비ASCII 문자는 메일 헤더에 직접 포함되면 메일 클라이언트가 올바르게 해석하지 못하고 깨지게 됨2-2. RFC 표준 인코딩► 한글과 같은 비ASCII 문자를 메일 헤더에 안전하게 포함하기위해서는 RFC 2047 또는 RFC 2231과 같은 국제 표준 인코딩 방식을 따라야 함 참고) 메일 헤더헤더 항목설명From발신자 주소To수신자 주소Subject제목Date발송 시간Conte..

Trouble Shooting 2025.08.20

[APM] Scouter 설치부터 WAS 모니터링까지

Scouter란? 주요 기능 및 구성 요소 알아보기 👇 https://yeit.tistory.com/92 [APM] Scouter란? 주요 기능 및 구성 요소, 장단점 알아보기1. Scouter란? Scouter는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오픈소스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도구이다. 주로 Java 기반 시스템의 성능 지표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yeit.tistory.com 1. Scouter Collector 설치 방법1.1 사전 준비Java : JDK 8 이상 (Server, Agent, Client 모두 Java 기반)방화벽 설정 : 기본 6100 (TCP, UDP) 포트 방화벽 정책 설정=> agent.java /..

Monitoring/Scouter 2025.08.10

[APM] Scouter란? 주요 기능 및 구성 요소, 장단점 알아보기

1. Scouter란?Scouter는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오픈소스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도구이다. 주로 Java 기반 시스템의 성능 지표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며, 서버 자원부터 개별 트랜잭션까지 상세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병목 현상을 파악하고 성능 저하의 원인을 빠르게 진단하여 문제 해결을 도울 수 있다. 2. Scouter 주요 기능항목설명실시간 모니터링서버의 CPU, 메모리, 트래픽, TPS, 응답시간 등의 시스템 지표 실시간 모니터링 지원애플리케이션 성능 분석요청별 처리 시간, 호출 횟수, 서비스별 트랜잭션 수행 시간 등 지원트랜잭션 추적(XLog)사용자 요청에 대한..

Monitoring/Scouter 2025.08.10

[Zabbix] Zabbix에서 NAS 마운트 경로까지 디스크 사용량 모니터링하기

Zabbix는 기본적으로 블록 스토리지(/, /home)의 디스크 사용량만 모니터링한다. 하지만 NAS를 마운트 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기때문에 NAS 경로도 함께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NAS 마운트 경로까지 Zabbix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1. 템플릿 수정Zabbix의 Template Module Linux filesystems는 서버의 파일시스템을 자동으로 탐지해 모니터링한다. 하지만 기본 설정은 로컬 디스크만 포함하고 NAS(NFS, CIFS) 경로는 없기 때문에 해당 설정을 추가해주자.Configuration → Templates 이동Template Module Linux filesystems 검색매크로 - {$VFS.FS.FSTYPE.MA..

Monitoring/Zabbix 2025.07.05

[JMeter] Windows 서버에서 JMeter CLI 실행 및 리포트 출력 방법

JMeter는 GUI로도 실행이 가능하지만, 성능 테스트를 자동화하거나 리소스 사용을 줄이기 위해 CLI로 실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특히 Windows 서버에서 배치 작업이나 예약 테스트를 구성할 때 유용하게 활용된다. 이로 인해 해당 글에서는 Windows 서버에서 CLI 모드로 JMeter를 실행하고, 테스트 결과 리포트를 생성하는 방법까지 정리해 보려고 한다. 1. JMeter 설치아래의 URL 참고https://yeit.tistory.com/84 Apache JMeter란? 설치 및 실행 방법JMeter란?Jmeter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및 부하 테스트를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현재는 웹 서버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FTP 등 여러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무료로 사용y..

OS/Windows 2025.05.20

[Linux] Iptables란? 포트포워딩 설정 및 영구적용 방법

iptables란?iptables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필터링하고, NAT, 포트포워딩 등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iptables를 사용하면 어떤 트래픽을 허용할지, 차단할지, 또는 특정 서버로 전달할지를 설정할 수 있다.   iptables 포트포워딩 설정 방법1. IP 포워딩 활성화 확인포트포워딩을 사용하려면 먼저 시스템에서 IP 포워딩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해당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 준다.[root@test ~]# cat /proc/sys/net/ipv4/ip_forward1 2. iptables NAT 설정 80포트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내부 서버 8080포트로 전달할 수 있도록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준다.외부에서 80 포트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내..

OS/Linux 2025.03.19

[NCP] Ncloud CLI 초기 설정 가이드

Ncloud CLI란?네이버 클라우드에서는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CLI(Command Line Interface,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Linux와 Windows 환경에서 개발 도구를 설치 및 구성하면 명령줄을 통해 다양한 네이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어하고 스크립트를 활용한 자동화 작업이 가능하다.    Ncloud CLI 초기 설정 방법 1. CLI 파일 다운로드 아래 URL에서 CLI 파일 다운로드 후 대상 서버로 파일을 옮겨준다.CLI 다운로드 CLI 다운로드 cli.ncloud-docs.com주의사항)CLI 1.0.17 이하 버전에서는 JDK 1.7을 사용했으나, CLI 1.0.18 이후 버전에서는 JDK 1.8을 사용 중내부 JDK 사용 시 스크립트도 변경 필..

Cloud/NCP 2025.03.18

[Docker] RabbitMQ 클러스터 구성하기

RabbitMQ란?오픈 소스 메시지 브로커로, AMQP(Advanced Message Queuing Protocol)를 기반으로 프로그램들이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메시지 큐 시스템이다. 애플리케이션 간 비동기 메시징을 가능하게 하며, 분산 환경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지원한다.추가로, 이를 클러스터 구성하면 여러 개의 노드들을 하나의 시스템처럼 묶어서 함께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여러 노드를 연결해 하나의 클러스터를 만들면 메시지를 분산 처리하거나 특정 노드가 장애가 나도 다른 노드가 대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때문에 안정성이 높아진다. RabbitMQ 클러스터 구성 방법0. 구성 환경 (네이버 클라우드)OS : Rocky Linux 8.10test1 서버 : rabbi..

SW/Container 2025.03.03

[Apache] 아파치 모듈 관리하기_Static, DSO 방식 비교

기본적으로 아파치의 기능들은 모듈화하여 제공되며, 사용자들은 필요한 모듈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을 관리하는 방법에는 정적 모듈(Static Modules)과 동적 모듈(DSO, Dynamic Shared Object) 두 가지가 있다.  Static 방식Apache를 컴파일할 때 필요한 모든 모듈을 포함하여 정적으로 빌드하는 방식이다.이 경우에는 Apache를 시작할 때 모든 모듈이 메모리에 로드된다. Apache를 컴파일할 때 필요한 모든 모듈을 빌드하기 때문에 초기 로딩 속도가 빠르고 의존성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불필요한 모듈까지 포함되어 메모리가 낭비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모듈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시에는 Apache 재컴파일이 필요하다.  ..

SW/WEB WAS 2024.10.05